파이프라인

JIN-A02

타겟 질환 정보

  • 폐암은 가장 높은 수준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나타내는 암종으로 폐암 중 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은 치료 반응률이 낮고 전이가 빠른 대표적인 난치성 암종임
  • 비소세포폐암의 대표적인 돌연변이인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변이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40-55%에서 관찰될 정도로 매우 흔함
  • 3세대 EGFR-TKI 치료 후 발생되는 C797S 돌연변이는 현재 치료 대안이 없음

JIN-A02 소개

  • JIN-A02는 비소세포폐암 EGFR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Kinase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로 3세대 EGFR-TKI의 주요 내성 유발 돌연변이인 EGFR C797S에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C797S와 C797S를 포함한 Exon 19 결손, L858R 및 T790M 이중 및 삼중 돌연변이와의 복합 돌연변이에 대해 3세대 EGFR-TKI에 비해 우수한 효능을 보인 유망한 차세대 EGFR-TKI임
  • 비소세포폐암의 주요 전이 발생 부위인 뇌 전이에 대해서도 높은 뇌혈관장벽 투과율과 우수한 뇌내 활성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뇌 전이에 대한 임상반응의 가능성을 나타냄
  • 정상 EGFR에 비해 돌연변이 EGFR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고용량 수준까지 증량 시에도 매우 양호한 안전성을 보임

JIN-A02 작용기전

  • EGFR Exon19 결손 및 L858R, T790 및 C797S 돌연변이에 대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
  • 정상 EGFR에 비해 돌연변이 EGFR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보임
  • 3세대 EGFR-TKI 대비 우수한 타깃 결합력과 효능을 보유함

JIN-A02 임상 시험 수행 현황

  • EGFR 돌연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JIN-A02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1/2상, 공개, 다기관 임상시험(NCT05394831)
  • 한국(2023년), 미국(2022년), 태국(2022년)에서 규제기관 승인
  • 현재까지 등록된 환자 기준 약물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반응, 용량제한독성 발생하지 않음

JIN-A02 국제 학회 발표 현황

학회명 Topic
2025 ASCO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5 AACR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4 ENA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4 WCLC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4 ASCO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4 AACR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3 ESMO Asia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3 WCLC (Poster presentation) 임상
2022 ESMO (Poster presentation) 비임상
2022 WCLC (Oral presentation) 비임상
  • 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미국암연구학회)
  • 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미국임상종양학회)
  • ENA: EORTC-NCI-AACR(유럽 암 연구 및 치료기구(EORTC)-미국 국립 암 연구소(NCI)-미국 암 학회(AACR) 심포지엄)
  • 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유럽종양학회)
  • WCLC: World Conference on Lung Cancer(세계폐암학회)

국가연구개발사업

  • 2025년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